전체 글(134)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 한방에 정리
부동산법이 문제인 대통령 정부들어서 총26번 변경되었다. 거의 3개월에 한번씩 새로운 부동산 정책이 쏟아져 나온것 같다. 그래서 절세를 위한 양도세 정리를 좀 해보자.. 1주택자 1가구 1주택의 경우 주택을 양도할 때 비과세지만 주택이 12억을 초과해서 매도하게 되면 초과분에 대해서 양도세가 발생한다. 비과세가 되려면 12억이하여야 하고, 실거주 기간이 2년을 채워야 비과세가 된다, 만약 다주택자라면 1주택이 된 시점(2023년부터)을 기준으로 2년보유 2년 실거주 요건을 갖추고 12억 이내로 매도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12억원 초과분에 대하여 양도세가 발생된다. 1가구1주택이라고 아무 생각없이 양도세 신고 안하면 큰일 나겠다. 2008년부터 9억원이였던 기준이 13년만에 12억으로 바뀌..
2021.11.29 -
전선 규격별 허용전류 그리고 가전기기 용량 산정방법
오늘은 220V 가정용 전기 관련 전선의 용도별 허용전류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나는 매립등도 설치하고 연장선도 만들고 셀프로 여러 가지 전기 관련 작업을 하는데 그때마다 아무 전선이나 사용하면 안 되나? 하고 생각을 했다. 그런데 사용 가전제품별로 허용된 전선 규격을 준수해야 화재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미 지난 블로그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가전제품은 고전력 제품도 있지만 저전력 제품도 있다. 고전력 제품은 가능하면 멀티탭 대신에 벽 콘센트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이야기했었다. 그럼 전선 규격별로 어느 정도 전력량을 수용하는지 표로 만들어 보았다. 단상 220v 기준 가정에서 개인이 큰 용량은 사용 안 할 테니까 최대 11kw 사용기준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럼 예를 들어보자 에어컨을 사용하..
2021.11.28 -
전기차 타면 얼마나 절약되는가? 충전 요금 비교, 급속 파워큐브 스타코프차지콘, 휘발류차 연료비 비교
내가 전기차를 2017년부터 쭉 타고 있으니까 만 4년 넘었고 5년 차이다. 남들보다 조금 먼지 시작한 전기차... 2017년 당시에는 SM3 ze를 탔는데, 스펙상 132km 운행이 가능한 차량이었다. 그리고 2020년 35.9kw 배터리로 무상교체받았고 주행거리는 213km로 늘어났지. 올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집 주변에 무료 충전소가 있어서 충전비는 거의 안 들었고 그렇게 4년 정도 운행을 할 수 있었다. 물론 정비도 0 원... 4년 동안 타면서 타이어만 한번 교체했다. 그리고 중고로 판매했는데, 1200만 원에 중고로 구매한 차량이었지만 4년 타고 800만 원에 판매했다. 감가율도 상당히 낮았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차 충전비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급속충전기 그렇다 충전이 빨리되는 충전기..
2021.11.27 -
PostgreSQL Column alter Test, 속도 테스트
PostgreSQL에서 Table을 Alter 했을 때 속도를 테스트 해보자. 1. 파티션 테이블을 만든다 CREATE TABLE test( No INTEGER, ID BIGINT, Sigma NUMERIC(22,2), AddTime TIMESTAMP ) PARTITION BY RANGE (Addtime); 2. 7일짜리 Range Partition을 생성한다. CREATE TABLE test_20211101 PARTITION OF test FOR VALUES FROM ('20211101') TO ('20211102'); CREATE TABLE test_20211102 PARTITION OF test FOR VALUES FROM ('20211102') TO ('20211103'); CREATE TABLE..
2021.11.26 -
복권 트랜스란 ?, 단권 트랜스와 차이점
단권 트랜스 단권 트랜스는 입력과 출력 쪽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이다. 우리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가정용 트랜스가 여기에 속한다, 물론 평균적으로.. 예를 들면 가정용 110v 다운트랜스라던가, 승압 트랜스 또는 예전 90년대 DC 아답터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코일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1차 측과 2차 측이 서로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1차와 2차 측이 절연이 안 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정확한 전압을 만들어 내는데 오차가 많다. 출력쪽에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입력 쪽으로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된 회로나 전자기기 등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복권 트랜스 복권 트랜스는 입력측에 코일이 감겨 있고, 출력 측에 다른 코일이 감겨 있어서 1차와 2차 측..
2021.11.25 -
접지를 왜 하는가 ?, 접지가 없는 제품은 왜 없는가 ?
접지를 왜 하는가? 접지는 전기적인 회로나 장 비이 일부분을 땅에 접지봉을 박아서 연결하는 것을 말하는데,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전기회로나 장비 즉,, 가전제품 등에서 누전된 전기가 사람 몸에 흐르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하니까 이렇게 땅으로 흐르도록 해서 사람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접지를 하게 된다. 접지가 안되어 있으면 가전제품을 만졌을 때 짜릿한 전기 흐르는 느낌을 느낄 수 있으며, 이 경우 매우 위험하니 접지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각 가정의 콘센트에는 전기를 연결하는 구멍 두 개와 접지 포인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포인트가 접지되는 포인트이다. 가정의 경우 한전에서 또는 전봇대에서 들어오는 전기는 두 가닥이고 접지선은 따로 들어오지 않는다. 이 접지선은 주택을 건축하면서 땅에 접지봉을 박거나..
2021.11.24